[Github - Slack] 완벽하게 연동하기
안녕하세요, 건프입니다.
협업하는 개발자라면 꼭 사용하게 되는 소스코드 공유 협업툴 Github
협업하는 개발자와 각종 팀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Slack
이 두개를 연동하는 법을 Trello - Slack 연동 시리즈와 함께 알아봅니다.
1. Github 에서 깨끗한 team 을 하나 만들겠습니다.
Github 에 새로운 organization 을 만들었습니다.
Slack 방은 만들어져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.
여기서는 Trello Alerts App 만 설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.
오른쪽 상단에 보이는 설정탭을 클릭해
Add an app or integration
을 클릭하겠습니다.
이런 화면에서 github 을 검색하여 들어갑니다.
본인 Slack 방임을 확인하고
Install 버튼을 누릅니다.
어느 채널에 넣을껀지 묻습니다.
채널을 선택하고,
Add Github Integration 버튼을 누릅니다.
본인 Github 의 Authentic 을 얻어야 합니다.
버튼을 눌러 권한을 얻습니다.
Github Repo 선택 다운 스크롤을 눌러서 확인해보시고
여기에서 약간의 작업이 갈립니다.
만약 본인 개인 Repo 를 연동하는 경우에는 Authentic(권한) 만 얻으면 바로 저 스크롤에 뜹니다.
스크롤에 목표하고자 하는 Repo 가 나타난다면, 지금 뒷 과정은 할 필요 없이 그냥 바로 integration 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.
하지만 지금 처럼 organization 을 판 경우에는 저 스크롤에 나타나지 않습니다...(이거 해결하느라 뻘짓도 많이하고 시간도 많이 소비했습니다..)
스크롤에 본인이 원하는 레포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.
Github 의 해당 organization 의 Settings -> Thrid-party access 로 들어갑니다.
여기서 Third party access 를 잠시 풀어줍니다.
Remove restrictions 버튼을 누릅니다.
Are you sure?
yes
풀렸습니다.
그럼 이제 그 전 Slack 화면으로 돌아가서 리로드(Reload) 합니다.
화면 재 실행?
확인해보면 over-cart organization 이 생겼고
그아래 backend-side repo 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변했군요.
얘를 연동할꺼니까, 얘를 선택합니다.
Save Integration
버튼을 누르면 연동이 됩니다!
Github 가 현 채널에 연동되었다는 메세지를 볼 수 있습니다.
다시 Github organization 으로 돌아와서
다시 restriction 을 걸어줍니다.
다시 걸어도 되더군요 ㅋㅋ
이 레포에 새로운 내용으로 푸시를 날려보겠습니다.
SourceTree 로 Github를 관리하는 모습입니다.
새로운 내용이 푸시되었습니다.
그러자 곧바로 연동했던 Slack 의 채널에서
Github 푸시 메세지가 날아 옵니다.
약간의 이슈는 있었지만, 연동에 성공하였습니다 ㅎㅎ
앞으로 팀프로젝트할때, 이용하시면 굉장히 편리할 것 입니다.
고맙습니다 :)